본문 바로가기
재테크/경제

국가별 송금 흐름 및 GDP 영향

by 룸코너백수 2023. 1. 31.
반응형

0

국가별 송금 흐름 및 GDP 영향 시각화
COVID-19 대유행으로 전 세계 이민 흐름이 27% 느려졌습니다. 이와 함께 여행 제한, 실직, 건강 문제 증가로 인해 많은 이주 노동자들이 본국에 있는 가족에게 송금 형태로 돈을 보낼 수 없었습니다.

이러한 국가별 송금액은 2020년 전 세계적으로 1.5% 감소한 7,110억 달러였습니다.

그러나 향후 2년 동안 상황은 빠르게 역전되었습니다.

비자 승인이 다시 시작되고 국경이 열리면서 국제 이민과 글로벌 송금 흐름도 늘어났습니다.

2021년 총 글로벌 송금액은 7,810억 달러로 추산되었으며 2022년에는 7,940억 달러로 더욱 증가했습니다.

이 이미지에서 Richie Lionell은 세계은행의 KNOMAD 데이터를 사용하여

176개국의 국경을 넘어 증가하는 자금 흐름을 시각하여 보여주고 있습니다.

송금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송금은 전 세계 국가, 특히 저소득 및 중간 소득 국가 (LMIC)의 경제에 기여합니다. 

빈곤을 완화 하고 영양을 개선하며 이들 국가에서 학교 등록률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소득의 유입은 특히 재해에 직면했을 때 회복할 때 도움이 됩니다.


동시에, 이러한 송금이 대상국을 위한 만병통치약이 아니라는 점은 주목할 가치가 있습니다. 실제로 일부 연구에 따르면 송금에 대한 과도한 의존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속적인 경제 성장으로 이어지지 않는 악순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가장 많은 송금을 받는 국가
지난 15년 동안 인도는 가장 큰 송금 수혜자 차트에서 지속적으로 1위를 차지했습니다.

 

약 1,000억 달러의 송금액을 받은 인도는 2022년에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합니다.

이러한 송금액의 증가는 부분적으로 인도 이주자들이 걸프 국가의 저숙련 및 저임금 일자리에서 미국, 영국, 싱가포르를 포함한 고소득 국가의 고숙련 일자리로 전환한 데 기인할 수 있습니다.

멕시코와 중국은 2022년에 가장 많은 송금을 받는 국가의 상위 3개 국가입니다. (각각 60억 달러와 51억 달러)


국가 GDP에 미치는 영향
인도는 송금으로 혜택을 받는 국가 목록에서 1위를 차지하지만

송금 받은 1,000억 달러는 2022년 GDP의 2.9%에 불과합니다.

한편, 전 세계의 저소득 및 중간 소득 국가는 보다 실질적인 방식으로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이러한 수입원에 크게 의존합니다. 예를 들어 2022년 송금액은 25개국 GDP의 15% 이상을 차지했습니다.

 

주로 관광지로 알려진 통가의 폴리네시아 국가는 경제를 지원하기 위해 송금 유입에 의존합니다.

2022년에 국가의 들어오는 송금액은 GDP의 거의 50%에 달했습니다.

이 목록의 다음은 레바논입니다.

이 나라는 2022년에 68억 달러의 송금을 받았고, 이는 GDP의 거의 38%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축소되는 국가 경제 의 핵심 지원이 되었습니다.

 

글을 마치며

세계 인구는 80억 명이 넘었고 이제 인구 1위는 중국이 아니라 인도입니다.

https://liferoutine.tistory.com/19

 

세계 인구 순위 (세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국가)

안녕하세요! 인생루틴입니다. 세계 인구 분석을 통해 세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국가들에 대해 알아봅시다. 세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국가(1973–2023) 현재 인류는 1973년의 두 배입니다. 물론

liferoutine.tistory.com

세계 인구는 위 글을 참고하시기 바라며, 우리는 이제 인도 시장에 주목해야 합니다. 

세계 1위 인구 국가로 올라선 인도의 가장 큰 은행인 인도주택은행 HDFC(미국시장 HDB)을 주의 깊게 봐야 합니다.  
앞으로 30년 이상 복리로 성장할 기업이니 적립식으로 투자하기에 더할 나위 없이 좋은 기업이라고 생각합니다.

 

자료 출처: Visual Capitalist, "Animated Chart: Remittance Flows and GDP Impact By Country"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