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경제

청년내일채움공제 신청방법 및 최신 내용 정리

룸코너백수 2022. 12. 10. 08:50
반응형

안녕하세요! 인생루틴입니다.

중소기업에 취직한 분들이 꼭! 알아야 할 청년내일채움공제의 신청방법 및 최신 내용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경제 상황이 좋지 않고 경제 침체 이야기가 나오는 상황에서 위기를 현명하게 헤쳐나가기 위해 어떤 준비를 하고 있으신가요?

내가 사회 초년생이고, 중소기업에 막 취직했다면 청년내일채움공제는 초기 자산 형성에 많은 도움을 줄 것입니다.

자산, 수입, 저축(투자), 소비 돈에서 다루어야 하는 4가지 요소 중 의외로 고려하지 않는 수입.

사실 '수입'에 KEY가 있다고 부자들은 말하는데요, 자산 형성을 위한 첫걸음을 함께해봅시다.

 

청년내일채움공제란?

미취업 청년(만 15세 이상 34세 이하)의 중소기업 유입을 촉진하고, 근로자의 장기근속과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16년 7월부터 시행하고 있으며, 5인 이상 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이 2년간 300만원을 적립할 때, 정부에서 600만원, 기업이 300만원을 공동 적립하여 만기 시 1,200만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즉, 회사를 다니면서 2년간 900만원의 보너스를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투자 대비 수익률은 4배)

 

 

지원 대상

청년 : 만 15세 이상 34세 이하로 중소기업에 정규직으로 취업한 청년- 군필자의 경우 복무기간에 비례하여 참여 제한 연령을 연동하여 적용하되 최고 만 39세로 한정- 월 급여 총액이 300만원 이하인 청년

 

기업 : 고용보험 피보험자수 5인 이상의 중소기업(소비향락업 등 일부 업종 제외)- 벤처기업, 청년 창업기업 등 일부 5인 미만 기업도 참여 가능

 

 

지원 조건

지원 조건은 상당히 간단합니다.청년에 해당되며, 중소기업에 정규직으로 취업하여, 월 급여 총액이 300만원 이하여야 합니다.추가로 고용보험 가입이력이 없거나, 졸업 후 고용보험 총 가입기간이 12개월 이하여야 합니다.2년 이상 근무를 하면서 경력 형성과 함께 목돈을 마련할 수 있으며, 만기 후에는 중소벤처기업부가 운영하는내일채움공제(3~5년)로 재가입 또는 연장 가입을 통해 장기적으로도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청년 300만원, 정부 600만원, 기업 300만원의 금액이 적립되는데, 적립되는 방식이 다르니 유의해야 합니다.2년을 채운다면 상관이 없지만, 개인 사정으로 2년 이내에 퇴사를 하게 되는 경우 꼭 인지하고 있어야 할 내용입니다.

 

청년 적립금 : 매월 125,000원 납입(총 300만원)정부 지원금 : 6개월마다 적립(총 600만원)  기업 지원금 : 6개월마다 적립(총 150만원)기업 부담금 : 매월 62,500원 납입(총 150만원)

 

출처 : 청년내일채움공제 홈페이지

 

 

청년내일채움공제 신청방법

청년내일채움공제 신청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워크넷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청년내일채움공제를 클릭하여 참여 신청

: www.work.go.kr/youngtomorrow

2. 청년공제 청약 홈페이지에서 청약 신청

www.sbcplan.or.kr

 

워크넷 홈페이지

 

 

신청 기한

반드시 정규직 채용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청약 신청을 해야 합니다.

 

 

이상으로 초기 자산 형성에 뿌리가 되는 청년내일채움공제의 신청 방법 및 최신 내용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사회초년생일 때 내가 어떤 준비를 하고 있느냐에 따라 미래의 성과도 달라질 것입니다.

복리의 힘을 믿으며, 자산도 우상향 하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